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31 August 2024. 61-68
https://doi.org/10.7843/kgs.2024.40.4.61

ABSTRACT


MAIN

  • 1. 서 론

  • 2. 사질토의 전기비저항

  • 3.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바이오폴리머 주입도 평가

  •   3.1 전기비저항 측정 셀

  •   3.2 보정실험

  •   3.3 실내실험구성

  • 4. 실험결과 및 분석

  •   4.1 포화도에 따른 전기비저항의 변화

  •   4.2 주입경과에 따른 전기비저항의 변화

  • 5. 요약 및 결론

1.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인 도시화 및 건설 활동과 동반한 탄소 배출량 증가는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지속 가능한 건설 및 환경 보호 방안이 강조되고 있다. 시멘트 산업의 높은 탄소배출량과 토양 오염과 같은 환경적 문제들이 대두됨에 따라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건설 재료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Fatehi et al., 2021). 친환경 건설 재료로는 유기 합성 폴리머, 지오폴리머, 바이오폴리머 등이 있으며, 이 중 바이오폴리머는 생물체에 의해 생성되는 친환경 물질로서 강도 증진, 차수 효과 등 지반 개량 효과가 있다(Cabalar et al., 2017; Kim et al., 2024). 이와 같은 특성을 강점으로 하는 바이오폴리머는 시멘트의 대체재로서 그라우팅 등 지반보강 분야에 이용될 수 있으며(Chang et al., 2015), 실내 현장 모사실험 및 현장 지반을 대상으로 적용된 바 있다(Dagliya and Satyam, 2024; Li et al., 2024).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 개량 공법 중 하나로서 지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지반의 강도 증진, 투수성 감소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시공 후 품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공동 발생으로 인한 함몰 및 침하와 같은 지반 재해를 야기할 수 있다(Kazemian and Huat, 2009; Saleh et al., 2019). 그러므로 그라우팅 처리된 대상 지반의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처리 지반 내부에 대하여 보강 효과 예측 및 품질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Jorne and Henriques, 2016; Zhong et al., 2015).

그라우팅 처리된 지반의 보강 여부 평가를 위하여 시각적 평가, 강도 평가 및 투수성 평가와 같은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AL-Kinani and Ahmed, 2020; Han et al., 2022), 시각적 평가의 경우 직접적인 관찰을 위하여 굴착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강도 평가의 경우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이 고려될 수 있으나, 실내실험의 경우 현장 지반 구속상태와의 차이점으로 인해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현장실험의 경우 현장 지반의 영구변형 발생 등 교란이 불가피하다(Hong et al., 2015). 또한, 투수성 평가는 실내투수시험과 현장투수시험의 적용이 고려될 수 있으나, 실내투수시험의 경우 현장 조건 및 주입 상태 모사에 한계가 있으며, 현장투수시험의 경우 현장 조건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결과의 재현성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Boulanger and Hayden, 1995; Han, 2015; Widmann, 1996). 그러므로 현장 지반의 변형을 최소화하며 그라우팅 처리된 지반의 보강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비파괴탐사기법의 적용이 고려될 수 있다. 대표적인 비파괴탐사기법으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 탄성파 탐사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지하투과레이더의 경우 투과심도와 해상도가 반비례하고, 대상 지반의 유전율이 높을수록 전자기파의 감쇠가 크게 발생하여 유체 상태의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지반에 대한 적용에 한계가 있다(Bradford, 2007). 탄성파 탐사의 경우 미세구간에 대하여 탐사가 불가하며, 주입장비에 의한 소음에 의해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Green, 1974).

유체 상태의 그라우팅재 주입을 이용한 지반 보강 시 주입재에 의한 흙의 포화도가 상승하며, 이에 따라 변화하는 물성을 관찰하는 방법이 주입 모니터링에 적용될 수 있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반 내부로 전류 인가 및 전위차를 측정하여 지반 내 전기비저항 분포를 평가하는 기법으로서, 해당 전기비저항은 지반 내부의 간극률, 간극 내 유체의 종류 및 함수량과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전기비저항은 바이오폴리머 그라우팅 처리된 지반의 주입도 평가 및 주입 모니터링을 위한 물성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McCarter, 1984; Park et al., 2008; Cho, 2020).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폴리머 주입도를 평가하고자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에 의해 각기 다른 포화도로 조성된 사질토에 대하여 전기비저항을 평가하였으며, 포화도와 전기비저항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건조된 사질토에 대하여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경과에 따른 전기비저항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은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하며, 전기비저항 셀의 제작, 전기저항과 전기비저항의 보정실험, 바이오폴리머 주입경과에 따른 전기비저항 평가를 위한 실내실험 과정 및 결과를 다룬다.

2. 사질토의 전기비저항

전기비저항 탐사는 전극을 통해 지반에 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된 전위차를 기반으로 지반 내부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평가 및 지층 분포를 조사하는 지구물리탐사 기법이다(Kim, 2006). 전기전도도의 역수인 전기비저항은 측정 환경에 영향을 받는 전기저항과 달리 물질 고유의 전기적 특성으로서 객관화된 전기적 물성 평가에 이용될 수 있다(Hong et al., 2020). 또한, 전기비저항은 흙 입자의 종류, 간극 내 구성 물질, 간극 내 유체의 농도 및 점도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지표하부의 물성 변화 평가에 적용될 수 있다(Archie, 1942; Benton et al., 1997). 이와 같은 흙의 구성요소에 따른 전기적 물성 변화의 효용성으로 인하여 전기비저항은 ERT(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등 지표 하부 구조 평가 및 물성 파악에 활용되고 있다(Kibiria and Hossain, 2012). 간극수에 의해 포화된 사질토의 전기전도도는 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Pyo et al., 2018).

(1)
σmix=1-nσp+nσel

여기서, σmix는 포화된 사질토의 전기전도도, σp는 흙 입자의 전기전도도, σel은 간극수의 전기전도도이며 n은 간극률이다. 이때 흙 입자의 전기전도도보다 간극수를 구성하는 전해질 용액의 전기전도도가 매우 크다면 식 (1)에서 우변의 첫 번째 항[(1-n)σp]을 무시할 수 있다(Pyo et al., 2018). 따라서 포화된 사질토의 전기전도도는 식 (2)와 같이 간극률 및 간극수의 전기전도도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σmix=nσel

또한, Archie(1942)는 전기전도도의 상반관계인 전기비저항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포화된 사질토에서의 전기비저항에 대하여 식 (3)과 같은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3)
F=ρsoilρfluid=α·ϕ-m·S-n

여기서, F는 흙 입자와 간극을 구성하는 유체의 전기비저항 비로 표현한 형상계수(formation factor)로서 ρsoil 및 ρfluid는 각각 흙과 유체의 전기비저항, φ는 간극률, α, m은 각각 흙 입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경험적 상수이며 S는 포화도, n은 포화도 관련된 매개변수이다(Campanella and Weemees, 1990; Kim et al., 2011). 추가적으로, Archie(1942)식 (3)에서 나타낸 형상계수를 이용하여 식 (4)와 같이 조립토에서의 포화도를 전기비저항의 비로 표현한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4)
Sn=F·ρfluidρsoil=α·ρfluidϕm·ρsoil

식 (4)를 통해 흙의 전기비저항은 간극률 및 포화도와 반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바이오폴리머 주입 시 간극 내 유체 유입에 의한 전기비저항의 감소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바이오폴리머 주입 시 주입 분포 형상 및 주입도는 전기비저항을 바탕으로 평가될 수 있다.

3.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바이오폴리머 주입도 평가

3.1 전기비저항 측정 셀

흙에 대한 실내실험 규모의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주입 모사 및 전기비저항 평가를 위하여 Fig. 1과 같이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 셀을 제작하였다. 셀은 아크릴 재질의 몸통부와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하부 캡으로 구성되었으며, 외부 전기적 노이즈의 간섭을 최소화하고자 상·하부 캡의 내부를 MC Nylon으로 절연 처리하였다. 몸통부에는 전기저항 측정을 위한 전극이 8개 층에 30mm 간격으로 각 한 쌍씩 설치되었으며, 각 층의 전극은 전기적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한 4전극 쌍배열(4-terminal pairs) 형태로 구성하였다(Kim et al., 2009).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1.jpg
Fig. 1

A cell instrumented with electrodes and thermocouple (HC, HP, LC and LP denote high current, high potential, low current and low potential, respectively)

3.2 보정실험

3.2.1 작동주파수 결정

전기저항 측정 시 분극 효과 제거를 위하여 교류(alternating current, AC)가 적용되나, 교류 전류에 기반하여 측정된 전기저항은 작동주파수에 따라 불안정하게 나타나며 공진주파수에 따른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작동주파수 결정을 위한 보정실험이 구성되었다. 작동주파수의 결정을 위하여 전기전도도가 각각 200, 400, 600, 800μS/cm인 NaCl 수용액을 전기비저항 셀 내부에 조성하였으며 Keysight사의 LCR 미터(E4980AL)을 이용하여 1Hz~100kHz 주파수 범위 내 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주파수에 따른 전기저항 측정 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작동주파수는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안정된 전기저항 값을 나타내는 10kHz로 결정되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2.jpg
Fig. 2

Experimental result of frequency sweeping

3.2.2 온도보상

전기저항과 같은 전기적 특성은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온도 변화와 관계없이 일관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하여 온도보상을 위한 보정실험이 구성되었다. 온도에 따른 전기저항의 보정을 위하여 전기전도도가 1000μS/cm로 조성된 NaCl 수용액을 이용하여 5°C~45°C 온도 범위 내 전기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3에 나타내었다. 20°C 측정 온도로 보정된 전기저항(RC)과 T°C에서 측정된 전기저항(RT)의 상관관계는 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Hong et al., 2020).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3.jpg
Fig. 3

Temperature effect on electrical resistance

(5)
RC=RT·1+α·T-20

여기서, α는 온도보정계수이며, 온도보정실험을 통해 0.0197로 결정되었다.

3.2.3 전기저항과 전기비저항 상관관계

전기저항과 전기비저항이 선형관계임을 이용하여(Kim et al., 2011) 전기저항-전기비저항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전기비저항 측정 셀 내부에 전기전도도가 200~2000μS/cm(200μS/cm 간격)에 해당하는 NaCl 수용액을 조성하였으며, 작동주파수(10kHz)에서 측정한 전기저항 값과 NaCl 수용액의 전기비저항을 비교하여 Fig. 4에 나타내었다. 본 보정실험 결과, 전기저항과 전기비저항은 우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물성간 상관관계는 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Chun et al., 2013).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4.jpg
Fig. 4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resistance and electrical resistivity

(6)
ρΩ·m=βm·RΩ

여기서, β는 전극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프로브 상수(m)이며, R은 전기저항(Ω), ρ는 전기비저항(Ω·m)이다. 해당 실험을 통해 전기저항과 전기비저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프로브 상수(β)는 0.0056으로 결정되었다.

3.3 실내실험구성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 상태에 따른 전기비저항의 변화 관찰을 위하여 Fig. 5와 같이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 및 바이오폴리머 주입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두 가지 모형실험을 계획하였다. 첫 번째 모형실험으로, 사질토 내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포화도에 따른 전기적 물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물 무게(WW)와 잔탄검 바이오폴리머의 무게(WXG) 비에 해당하는 중량농도(WXG/WW) 0.5%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과 주문진 표준사를 이용하여 포화도가 20, 40, 60, 80, 100%인 시료를 조성하였으며,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 모형실험에서는 지반 내부로 주입되는 바이오폴리머를 모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측정 셀에 건조된 주문진 표준사를 조성하였으며, 하부 캡을 통하여 중량농도 0.5%의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을 상방향 주입하였다. 이때, 시료 상부에 필터 페이퍼를 설치하여 바이오폴리머 주입 시 주입압에 의한 시료 유출을 방지하였으며, 상부 캡 중앙 구멍을 내어 시료가 포화되었을 때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이 주입 및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건조시료에 대한 바이오폴리머 주입경과에 따라 셀에 8개의 층으로 설치된 전극을 통하여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다. 전기비저항 값의 변화를 통해 시간에 따른 각 층의 포화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해당 실험은 전기비저항 값이 수렴하는 시점까지 실시하였으며, 전기비저항 값을 바탕으로 완전 포화상태를 판단하여 측정 종료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5.jpg
Fig. 5

Experimental setup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포화도에 따른 전기비저항의 변화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도에 따른 전기적 물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전기비저항 셀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S)로 조성한 주문진 표준사의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다. 전기비저항은 셀에 설치된 8개 층의 전극들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각 층에서 50회 측정 후 평균하였다.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에 의한 시료의 포화도와 전기비저항의 관계를 Fig. 6에 나타내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6.jpg
Fig. 6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aturation and electrical resistivity

각기 다른 포화도로 조성된 사질토에 대한 전기비저항 평가 결과, 포화도 상승에 따라 전기비저항 값은 감소하였으며, 완전 포화됨에 따라 전기비저항 값은 수렴하였다. 이는 간극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은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으로 채워지면서 전기비저항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화도에 따른 전기비저항 평가 결과는 기존의 연구사례(Samouëlian et al., 2005)들과 동일한 지수적 감쇠 경향을 나타내므로 신뢰할 만한 포화도-전기비저항 관계가 수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 적용된 전기비저항 시스템이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주입도 평가 및 주입 함량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4.2 주입경과에 따른 전기비저항의 변화

바이오폴리머 주입경과에 따른 전기비저항 값의 변화 관찰을 위하여 건조한 사질토가 조성된 전기비저항 셀의 하단부 주입구를 통해 50kPa의 압력으로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을 주입하였으며, 측정 중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 속도가 더딘 구간에 한해 주입경과시간 2200s, 3000s에서 75kPa, 100kPa로 주입압을 상승시켰다. 전기비저항 측정은 주입과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바이오폴리머 주입경과에 따라 평가된 전기비저항 값을 Fig. 7에 나타내었다. 건조된 주문진 표준사의 매우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하여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도달 이전 각 층의 전기비저항 값은 500Ω·m 이상의 범위에서 불안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이 전극과 접촉한 시료의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전기비저항 값이 점차 감소하며 각 층의 전기비저항 값이 약 65Ω·m의 안정적인 값으로 수렴하였다. 이는 앞서 실시한 실험을 통해 측정된 완전 포화상태의 전기비저항 값과 동일하며, 완전 포화상태의 주입이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7.jpg
Fig. 7

Electrical resistivities at 1~8 layers with injection time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경과에 따른 각층의 전기비저항을 경과시간별로 시각화하여 Fig. 8에 나타내었다. 주입경과에 따라 하단부부터 전기비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전기비저항 값이 소폭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주입에 의한 침투수력 발생 및 다짐 효과 발생, 이로 인한 동일 부피 내 흙 입자 부피비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gs/2024-040-04/N0990400405/images/kgs_40_04_05_F8.jpg
Fig. 8

2-Dimensional electrical resistivity image with injection time

5. 요약 및 결론

바이오폴리머는 친환경 재료로서 지반의 강도 증진, 투수성 감소 등의 지반 개량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시멘트 그라우팅재의 대체재로 이용될 수 있으나, 주입 품질 불량 시 목표 성능 발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바이오폴리머 주입에 의한 보수·보강 처리 지반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바이오폴리머의 주입도 평가 및 주입 형상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에 의한 사질토에서의 전기적 물성 변화 및 주입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기적 물성 변화 평가를 위하여 주문진 표준사와 잔탄검 중량농도(WXG/WW) 0.5%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에 의해 각기 다른 포화도(20%, 40%, 60%, 80%, 100%)로 조성된 흙 시료의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흙 시료의 포화도 상승에 따라 전기비저항은 지수적 감쇠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해당 상관관계를 수식적으로 도출하였다.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주입에 따른 전기비저항 변화를 평가하고자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 경과 시간에 따라 흙 시료의 주입경로 상 8개 층에서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이 주입됨에 따라 각 층의 전기비저항이 감소 및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 양상 및 주입도 평가가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에 의한 포화도와 전기비저항의 상관관계는 바이오폴리머 처리 지반에 대한 주입도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전기비저항 평가가 바이오폴리머 수용액 주입도 및 주입 품질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cknowledgements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R1A4A3029737).

References

1

AL-Kinani, A. M. and Ahmed, M. D. (2020, February), "Field Study of the Effect of Jet Grouting Parameters on Strength based on Tensile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n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737, No.1, p.012083). IOP Publishing.

10.1088/1757-899X/737/1/012083
2

Archie, G. E. (1942), "The Electrical Resistivity Log as an Aid in Determining Some Reservoir Characteristics", Transactions of the AIME, Vol.145, No.1, pp.54-62.

10.2118/942054-G
3

Banton, O., Cimon, M. A., and Seguin, M. K. (1997), "Mapping Field-scal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with Electrical Resistivit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61, No.4, pp.1010-1017.

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40003x
4

Boulanger, R. W. and Hayden, R. F. (1995), "Aspects of Compaction Grouting of Liquefiable Soil", Journal of Repair of Undersea Concrete Using Biopolymer-assisted Plant Urease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21, No.12, pp.844-855.

10.1061/(ASCE)0733-9410(1995)121:12(844)
5

Bradford, J. H. (2007), "Frequency-dependent Attenuation Analysis of Ground-penetrating Radar Data", Geophysics, Vol.72, No.3, pp.J7-J16.

10.1190/1.2710183
6

Cabalar, A. F., Wiszniewski, M., and Skutnik, Z. (2017), "Effects of Xanthan Gum Biopolymer on the Permeability, Odometer, Unconfined Compressive and Triaxial Shear behavior of a Sand",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54, pp.356-361.

10.1007/s11204-017-9481-1
7

Campanella, R. G. and Weemees, I. (1990), "Development and Use of an Electrical Resistivity Cone for Ground Contamination Studie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27, No.5, pp.557-567.

10.1139/t90-071
8

Chang, I., Im, J., Prasidhi, A.K., and Cho, G-C. (2015), "Effects of Xanthan Gum Biopolymer on Soil Strengthen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74, pp.65-72.

10.1016/j.conbuildmat.2014.10.026
9

Cho, I. K. (2020), "Recent Trend in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Vol.57, No.5, pp.506-526.

10.32390/ksmer.2020.57.5.506
10

Chun, O. H., Lee, J. S., Park, M. C., Bae, S. G., and Yoon, H. K. (2013), "Estimation of Slime Thickness of Bored Piles by Using Borehole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9, No.3, pp.51-60.

10.7843/kgs.2013.29.3.51
11

Dagliya, M. and Satyam, N. (2024), "Large Scale Study on Influence of Biopolymer to Mitigate Wind Induced Sand Erosion with Durability Analysis", Soil and Tillage Research, Vol.236, 105942.

10.1016/j.still.2023.105942
12

Fatehi, H., Ong, D., Yu, J., and Chang, I. (2021), "Biopolymers as Green Binders for Soil Improvement in Geotechnical Applications: A Review", Geosciences, Vol.11, 291.

10.3390/geosciences11070291
13

Green, R. (1974), "The Seismic Refraction Method-A Review", Geoexploration, Vol.12, No.4, pp.259-284.

10.1016/0016-7142(74)90015-5
14

Han, C., Wei, J., Zhang, W., Yang, F., Yin, H., Xie, D., and Xie, C. (2022), "Quantitative Permeation Grouting in Sand Layer with Consideration of Grout Properties and Medium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327, 126947.

10.1016/j.conbuildmat.2022.126947
15

Han, J.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Ground Improvement", John Wiley & Sons.

16

Hong, W. T., Kang, S., and Lee, J. S. (2015), "Applic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Estimation of Loose Layer",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1, No.11, pp.41-48.

10.7843/kgs.2015.31.11.41
17

Hong, W. T., Woo, G., Park, M. C., and Lee, J. S. (2020), "Slime-meter for Assessment of Slime Thickness based on Electrical Properties in Borehole",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119, 103328.

10.1016/j.autcon.2020.103328
18

Jorne, F. and Henriques, F. M. (2016), "Evaluation of the Grout Injectability and Types of Resistance to Grout Flo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122, pp.171-183.

10.1016/j.conbuildmat.2016.06.032
19

Kazemian, S. and Huat, B. B. (2009),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Grouting and Injection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European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Vol.27, No.2, pp.234-247.

20

Kibria, G. and Hossain, M. S. (2012), "Investigation of Geotechnical Parameters Affecting Electrical Resistivity of Compacted Clay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8, No.12, pp.1520-1529.

10.1061/(ASCE)GT.1943-5606.0000722
21

Kim, B. K., Lee, J. S., Park, J. J., and Kim, S. Y. (2024), "Response of Sand Added with Various Biopolymer Contents under Repetitive Loading and Freeze-thaw Cycles", Transportation Geotechnics, 101280.

10.1016/j.trgeo.2024.101280
22

Kim, H. J. (2006),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s i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39, No.4, pp.473-483.

23

Kim, J. H., Yoon, H. K., Cho, S. H., Kim, Y. S., and Lee, J. S. (2011), "Four Electrode Resistivity Probe for Porosity Evaluation",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34, No.6, pp.1-8.

10.1520/GTJ102866
24

Kim, J. H., Yoon, H. K., Choi, Y. K., and Lee, J. S. (2009), "Porosity Evaluation of Offshore Soft Soils by Electrical Resistivity Cone Prob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5, No.2, pp.45-54.

25

Li, Z., Hu, K., Feng, G., Long, W., Luo, Q., and Chen, C. (2024), "Repair of Undersea Concrete Using Biopolymer-assisted Plant Urease",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109825.

10.1016/j.jobe.2024.109825
26

McCarter, W. J. (1984), "The Electric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of Compacted Clays", Geotechnique, Vol.34, No.2, pp.263-267.

10.1680/geot.1984.34.2.263
27

Saleh, S., Yunus, N. Z. M., Ahmad, K., and Ali, N. (2019), "Improving the Strength of Weak Soil Using Polyurethane Grouts: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202, pp.738-752.

10.1016/j.conbuildmat.2019.01.048
28

Park S. G., Farooq M., and Kim J. H. (2008), "Change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Caused by the Grout Content of Soil Sam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Vol.45, No.6, pp.700-706.

29

Samouëlian, A., Cousin, I., Tabbagh, A., Bruand, A., and Richard, G. (2005),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n Soil Science: A Review", Soil and Tillage Research, Vol.83, No.2, pp.173-193.

10.1016/j.still.2004.10.004
30

Pyo, W. M., Lee, J. Y., Lee, J. S., and Hong, W. T. (2018), "Change of Hydraulic Properties of Sand due to Fine Diatom Particle Migr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2, pp.19-32.

31

Widmann, R. (1996), "Internation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mmission on Rock Grou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 Abstracts, Vol.33, No.8, pp.803-847 Pergamon.

10.1016/S0148-9062(96)00015-0
32

Zhong, D. H., Yan, F. G., Li, M. C., Huang, C. X., Fan, F., and Tang, J. F. (2015), "A Real-time Analysis and Feedback System for Quality Control of Dam Foundation Grouting Engineering",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Vol.48, pp.1947-1968.

10.1007/s00603-014-0686-6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