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rrelation between Casagrande Test and Fall Cone Test Methods and their Applicability in Ground Improvement
카사그란데방법과 원추관입시험방법의 상관관계와 지반개량제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
Kun-Woo Ko, Dong-Jun Yeo, Kyung-Min Kim, Byung-Suk Lee
고건우, 여동준, 김경민, 이병석
-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and uniaxial compression test of soil was conducted on 15 collapsed sites to use ground improvement with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한 피해의 보호효과가 탁월한 지반개량제를 표층개량공법에 활용하기 위해 붕괴된 15개소의 현장토를 대상으로 흙의 분류 및 일축압축시험을 …
-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and uniaxial compression test of soil was conducted on 15 collapsed sites to use ground improvement with excellent protection effect owing to the increase of localized heavy rain in Korea. The Casagrande method and fall cone test were performed on the field soil to derive an expression for comparing liquid limit and plastic limit values, soil classifi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By deriving the optimal mixing ratio of the ground improvement agent using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for each soil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of the fine-grained soil was not clear owing to the proficiency difference and test error. However, after classifying using the fall cone test,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clear optimal mixing ratio.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한 피해의 보호효과가 탁월한 지반개량제를 표층개량공법에 활용하기 위해 붕괴된 15개소의 현장토를 대상으로 흙의 분류 및 일축압축시험을 진행하여 토질별 최적배합비를 제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토에 대해 Casagrande법과 원추관입시험법을 실시하여 액·소성한계값의 비교, 흙의 분류 및 서로의 상관관계에 대한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흙의 분류에 대해 일축압축강도를 이용하여 지반개량제의 최적배합비를 도출한 결과, Casagrande법으로 분류한 경우 실험자의 숙련도 차이와 시험의 오차에 의해 세립토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원추관입시험법으로 분류하였을 때 명확한 최적 배합비를 제안할 수 있었다.
-
Correlation between Casagrande Test and Fall Cone Test Methods and their Applicability in Ground Improvement
-
-
Numerical Study on the Stress-distribution Ratio of Grouting Pile for Reinforced Ground
지반보강용 그라우팅 말뚝의 응력분담비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Gyeong-Ju Yi, Joon-Kyu Lee, Weiwei Zhang, Ki-Il Song
이경주, 이준규, 張維維, 송기일
-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compacted sand piles applied as soft ground countermeasures, are analyzed for settlement and stability by the composite ground …
연약지반 대책공법으로 적용되는 다짐모래말뚝과 같은 지중구조물은 주로 복합지반 설계법에 의해 침하 및 안정성을 분석한다. 복합지반 설계법의 기본원리는 아칭효과이며 말뚝의 보강효과는 응력분담비로 평가한다. …
-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compacted sand piles applied as soft ground countermeasures, are analyzed for settlement and stability by the composite ground design method.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mposite ground design method is the arching effect. The reinforcing effect of the pile is evaluated as the stress-distribution ratio. When applying grouting piles with elastic properties using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the existing stress-distribution ratio was only considered when the pile was installed. This study shows that the method of applying the stress-distribution ratio applied in previous studies should be changed when the ground reinforcement pile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location in the ground without raising it to the ground surface. When high strength jet routing is applied, the stress-distribution ratio (n) to the in-situ ground generally ranges from 30 to 50. However, if the pile is located far from the surface and the depth goes down to the boundary depth of the stress sphere, the stress-distribution effect rapidly decreases, and the stress-distribution ratio converges to 1.5.
- COLLAPSE
연약지반 대책공법으로 적용되는 다짐모래말뚝과 같은 지중구조물은 주로 복합지반 설계법에 의해 침하 및 안정성을 분석한다. 복합지반 설계법의 기본원리는 아칭효과이며 말뚝의 보강효과는 응력분담비로 평가한다. 탄성적 특성을 갖는 그라우팅 말뚝을 지반보강공법으로 적용할 때 기존의 응력분담비 평가는 말뚝이 지표까지 설치되어 상재하중이 말뚝과 원지반에 같이 직접 재하되는 경우만을 고려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보강 말뚝의 설치를 지표까지 올리지 않고 지중 어느 위치에서 마감할 때에는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해 적용된 응력분담비 적용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강도 Jet grouting이 적용되었을 때 원지반에 대한 그라우팅 말뚝의 응력분담비(n)는 통상 30~50 범위의 값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는 지표까지 말뚝이 놓이는 경우이고 말뚝 상단의 위치가 지표로부터 멀리 깊게 위치될 경우 응력분담 효과가 급격히 저감되며 응력구(stress bulb) 경계가 되는 깊이부터는 정량적 값 1.5에 수렴했다.
-
Numerical Study on the Stress-distribution Ratio of Grouting Pile for Reinforced Ground
-
-
Predicting Unsaturated Soil Water Content Using CIELAB Color System-based Soil Color
CIELAB 색 표시계 기반 토색을 활용한 불포화토 함수비 예측 연구
-
Sung-Ha Baek, Ka-Hyun Park, Jun-Seo Jeon, Tae-Young Kwak
백성하, 박가현, 전준서, 곽태영
- A study was conducted to use soil color obtained from digital images as an indicator of soil water content. Digital images of …
본 연구는 흙의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다섯 가지 함수비로 조성된 주문진표준사 시료를 대상으로 …
- A study was conducted to use soil color obtained from digital images as an indicator of soil water content. Digital images of Jumoonjin standard sand with five different water contents were captured under nine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Through digital image processing, the soil color of the sample was obtained based on the CIELAB color system, and the effect of lighting conditions and water content on the soil color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L*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illuminance, whereas a* and b*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color temperature. As the water content increased, L*, which represents the brightness of the soil color, decreased, and a* and b* increased. Therefore, the soil color changed from green and blue to red and yellow.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lighting conditions, water content, and soil color, a water content predicting method based on the soil color of silica-based sand photographed under irregular light conditions wa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can predict the water content with a maximum error of 0.29%.
- COLLAPSE
본 연구는 흙의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다섯 가지 함수비로 조성된 주문진표준사 시료를 대상으로 광조건을 아홉 번 씩 바꿔가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했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촬영된 시료의 토색을 CIELAB 색 표시계를 기반으로 획득하고, 광조건과 함수비에 따른 토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불포화토의 토색 L* 값은 조명의 조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a*와 b* 값은 조명의 색온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함수비가 증가하면 토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가 감소하고, a*와 b*는 증가하여 토색이 초록과 파랑에서 멀어지고 빨강과 노랑에 가까워졌다. 광조건 및 함수비와 토색의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 불규칙한 광조건에서 촬영된 실리카 계열의 모래의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제안된 방법을 통해 최대 오차 0.29% 수준으로 함수비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Predicting Unsaturated Soil Water Content Using CIELAB Color System-based Soil Color